브리핑 중에 나오는 키워드는 무슨 뜻인가요?
•
ㅊㅊ = 매수추천
•
ㅂㅁ = 25% 분할 매도
•
50 ㅂㅁ = 50% 분할 매도
•
ㅇㅁㄷ = 올매도
•
ㅊㅁ = 추가매수 (분매한 종목이 추세가 다시 나와서 추가매수 할 때 사용합니다)
•
불 = 불타기 (기존에 보유하고 있는 종목들의 비중을 더 실어주는 것입니다)
불타기가 나왔는데 미 보유 중인 종목이라면 신규 진입도 가능한가요?
•
불타기는 보유자들만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, 매수 추천이 뜨면 진입하는 것이 좋습니다.
분할 매도와 매수 추천이 같이 나오는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요?
•
보유 중인 사람은 분할 매도를 하고 미 보유자는 신규 진입을 하면 됩니다.
매수 추천 나온 종목을 늦게 보았는데 현재가가 매수가보다 낮으면 사도 되나요?
•
세일가 입니다. 손절 하더라도 원칙대로 매매한 것 보다 손실을 덜 보게 됩니다. 익절 할 경우 더 크게 하게 되므로 더 좋은 자리입니다.
기존에 매수 추천이 나왔는데 이후에 또 매수 추천이 나오는 어떻게 하나요?
•
평단가가 낮은데 굳이 평단가를 올려 매수할 필요는 없습니다. 그냥 홀딩하면 되며 비중이 아쉽다면 약 불 정도는 태워도 됩니다.
브리핑을 실시간으로 보지 못하는데 어떻게 하나요?
•
브리핑을 정리해주시는 분들이 계십니다. 시간까지 함께 나오므로 차트를 보면서 가격 비교를 하여 진입하면 됩니다. 추천가보다 3% 이상이면 패스 하는게 좋습니다. 무리해서 다 태울 필요는 없습니다. 무리 하는거 보다는 통계를 쌓아가는게 더 중요합니다.
매수 추천과 불타기가 동시에 나오는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?
•
이런 경우에는 미 보유자들이 진입하기 좋은 구간입니다. 보유자들은 불 태우고 미 보유자들은 평소 비중대로 신규 진입하면 됩니다.
브리핑을 보고 진입하였는데 손실 중이에요. 어떻게 하나요?
•
매수 추천을 하는 종목들은 100% 오른다는 것이 아닙니다. 손절 구간보다 익절 하는 구간이 길 확률이 높은 종목들을 추천하는 것입니다. 약 손실 구간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은 매매 싸이클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입니다. 이런 경우 종목 당 투입 비중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.
브리핑에서 분할 매도 사인이 나오지 않았지만 수익 중인 종목은 어떻게 하나요?
•
룰대로 하면 됩니다. 상승 추세에서는 칼 같이 분매하기 보다는 여유를 가지고 천천히 분매하는 것이 좋습니다.
브리핑을 보고 매수한 종목들이 분할 매도나 올 매도 신호가 없으면 어떻게 하나요?
•
그대로 홀딩 하면 됩니다. 불안하다면 룰대로 분할 매도나 올 매도 진행하면 됩니다.
물타기는 하지 않나요?
•
물타기는 절대 하지 않습니다. (물타기 = 내려가는 추세에 기준 없이 추가 매수하는 것)
손실 중인 종목들이 진입가까지 올라와서 본절 일 때 추가 매수를 해도 되나요?
•
브리핑이나 알고리즘에서 매수 시그널이 나온 것이 아니라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.
분매 사인이 2번 나오면 어떻게 하나요?
•
같은 가격이라면 패스, 2번 해야 하는 경우는 따로 언급해주십니다. (분매의 의미가 사라짐)
매수 추천에 없던 종목인데 브리핑에서 분할 매도가 나오는 경우는 어떻게 하나요?
•
이전에 나왔던 추천 종목이였거나 누락되었을 수도 있습니다. 그냥 패스하면 됩니다.
빗썸에 추천이 나온 종목을 업비트에서 사도 되나요?
•
거래소 별로 차트가 약간은 다르기 때문에 구분하여 매수하는 것이 좋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