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earch
📎

브리핑을 늦게 봤을 때 대응법

우선 브리핑을 실시간으로 챙겨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.
키워드 알림( 아이폰 x )으로 ** ( or ++, 과제 )를 등록한다.
‘!알림추가’을 채팅방에 입력하여 SSABU Bot 의 알림에 등록한다.
검색 기능( = 채팅방 상단의 돋보기 )을 활용하여 ** ( or ++, 과제 )을 검색한다.
대응법 예시는 브리핑으로 작성하였지만 브리핑, 알고리즘, 티존 모두 대응법의 원리는 동일합니다. ( 알고리즘, 티존 이용자는 브리핑의 설명을 타점대비로 이해하시면 됨 )
브리핑을 늦게 보는 것이 매매를 함에 있어 더 손해를 보는 것은 아닙니다. 오히려 승률과 손익비가 유리한 자리에서 매매를 진행하기 때문에 천천히 할 수록 단기적으로 수익 시 추가 급등, 손실 시 약반등의 수익을 얻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. 따라서 데이터가 누적 될수록 더 큰 이득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( 존버 하라는 것이 아니고 실시간으로 브리핑을 처리하지 못하더라도 당일 매도와 매수를 진행하면 괜찮다는 뜻 )
개인사정으로 브리핑을 늦게 볼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 손실이 부담되는 종목들은 미리 25~50% 분할 매도를 진행하시면 됩니다. ( 대신 이후에 올매도가 안나오고 주가가 첫 매수가 회복 시에 분할매도 한 만큼 다시 추가매수를 해줘야함 )
브리핑을 늦게 봐서 매수 추천 종목이 가격이 올라있는 경우, 무리해서 담지 말고 비중을 줄여서 진입하거나 패스하고 이후로 나오는 추천 종목을 매수하면 됩니다. 오히려 이후에 나오는 추천 종목들이 많아질수록 매매승률이 더 올라갑니다. 이런 매매 싸이클의 원리를 알면 모든 종목을 다 담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게 됩니다. ( 브리핑 이후에 손실 중인 종목만 매수하는 것도 괜찮음 = 세일가 매수 )
브리핑은 모두 알고리즘 기반으로 진행되고, 알고리즘은 보수적으로 핸디캡을 적용하여 매수 타점보다 5% 위에서 매수를 하더라도 장기적으로 수익이 쌓이는 수준의 성능을 가지고 있습니다. ( 장기간 시드변화 그래프 테스트 완료 했음 ) 따라서 실시간으로 급하게 매수, 매도를 진행 할 필요는 없으며 위의 안내대로 천천히 매매를 진행 해주시면 됩니다.
간단 정리: 상황에 맞게 브리핑을 늦게 봤을 시 대응 하는 방법을 트레이딩 성향에 따라서 정리해놨습니다. 아래의 안내 중에서 본인의 성향에 맞게 대응 진행 해주시면 됩니다. 매수 타점 늦게 봤을 시: - 가격이 비슷한 것만 매수 - 손실 중과 수익중을 섞어서 매수 - 이후에 브리핑부터 시드를 살짝 늘려서 매수 - 가격이 오른 건 조금 매수, 가격이 내린 건 많이 매수 수익 중 분할매도 늦게 봤을 시: - 기존 분할매도는 패스하고 늦게 본 가격만 분할매도 - 기존 분할매도도 진행하고 상승 된 가격도 분할매도 같이 진행 손실 중 분할매도 늦게 봤을 시: - 바로 분할매도 올매도 늦게 봤을 시: - 바로 올매도 - 50% 올매도하고 가격이 살짝 오르거나, 살짝 내리면 나머지 올매도